본문 바로가기
기타

부부 증여세 면제 한도액 공동명의 장단점 적정 노후 생활비

by 좋은 소식들 2025. 1. 19.

부부 증여세 면제 한도액 공동명의 장단점 적정 노후 생활비

 

 

1. 부부 간 증여세 면제 한도액

부부 간 증여의 경우, 10년간 최대 6억 원까지 증여세가 면제됩니다.

 

따라서, 배우자에게 6억 원 이하의 재산을 증여하면 증여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.

 

이 한도는 10년간 합산 적용되므로, 이전에 증여한 금액이 있다면 이를 고려하여야 합니다.

 

또한, 2024년부터는 자녀가 혼인하거나 출산하는 경우 부모로부터 각각 최대 1억 원까지 추가로 증여세가 면제됩니다.

 

이러한 세법 규정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, 증여를 계획할 때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 

2. 부부 공동명의의 장단점

장점:

종합부동산세 절감: 부부 공동명의로 주택을 소유하면 각자 6억 원씩 공제받아 총 12억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는 단독명의의 11억 원 공제보다 유리합니다.

 

양도소득세 절감: 공동명의 시 양도소득세 기본공제를 각각 250만 원씩 총 5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으며, 과세표준 구간이 낮아져 세금 부담이 줄어듭니다.

 

단점:

증여세 발생 가능성: 한쪽 배우자 명의의 부동산을 공동명의로 전환하면 지분 이전 부분에 대해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
 

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박탈: 공동명의로 인한 소득 증가로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이 박탈될 수 있습니다.

 

주택 담보대출 제약: 공동명의 시 대출 한도나 조건에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3. 부부의 적정 노후 생활비

노후에 필요한 생활비는 개인의 생활 수준과 지출 패턴에 따라 다르지만, 여러 연구에서 평균적인 금액을 제시하고 있습니다.

 

국민연금연구원에 따르면 부부 기준 월 평균 268만 원이 적정 노후 생활비로 나타났습니다.

 

또한,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의 '2024 슬기로운 은퇴생활' 보고서에서는 부부의 적정 노후 생활비 평균을 월 322만 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.

 

최근 조선일보 기사에서는 부부의 적정 생활비를 월 369만 원으로 언급하였습니다.

 

이러한 차이는 조사 기관과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, 자신의 생활 방식과 필요에 맞게 노후 생활비를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